아나콘다 설치(Anaconda3-2022.05-Windows-x86_64)
help- eclipse market-pydev 검색-최상단 인스톨
재시작 - window-preference-pydev-intepreters-pythonintepreter - new -browse /pypy exe 머시깽이-anaconda 폴더-python 열기
-모두 체크- apply and close
new-other-pydev-python project-new-pydev module (파일 생성)
#_*_ coding:utf-8
'''
Created on 2022. 10. 4.
@author: admin
''' # 변수 지정을 안했으므로 주석처리와 다름이 없다.
print(123)
print('abc')
print('가나다')
한글을 쓰기 위해
#_*_ coding:utf-8
삽입해야함
# = 주석
주석 색상 변경
window-preferences-pydev-editor-commants-색 변경
print('오늘은' '즐거운' '화요일' '입니다.')#문자열을 연속해서 사용할 때 + 생략 가능
print('오늘은', '즐거운', '화요일', '입니다.') # , 의 역할 = 공백을 준다.
print(123,end='') # 기본적으로 print가 실행 될 때 마다 줄바꿈이 되는데 end= 을 통해 직접 지정해 줄 수 있다.
print("%d/%d=%d" % (10,3,10/3)) #서식문자 지정 첫번째 %d 에 10,두번째 3, 세번째 10/3이라 10/3=3 로 출력된다.
print(divmod(15,6)) # 결과=(2,3) 앞의 2는 몫 뒤의 3은 나머지다.
a=2
b=3
a=a**b # 제곱 2의 3승
print(a==b) #False (대문자 주의)
print(a!=b) #True (대문자 주의)
c='banana'
print('c:',c)
d='''
apple
pie
'''
print('d:',d) # 여러줄을 쓸 때 는 '든 "이든 3개를 써줘야한다.
# Scanner
print('입력하세요1:',end='')
a=input()
print('a:', a)
b=input('입력하세요2:') # input 함수 안에 써줘도 출력된다.
print('b:',b)
print(a,'+',b,'=',int(a)+int(b) )
print("%s + %s = %d" % (a,b,int(a)+int(b))) #input은 문자열로만 받는다.
c=int(a)+int(b)
print('{} + {} = {} '.format(a,b,c)) #format 함수를 통해 지정해줄 수도 있다. {}의 위치에 들어간다.
print('{1} + {0} = {2} '.format(a,b,c)) #직접 순서를 지정해줄 수도 있다.
조건문 if
su= input('입력하세요:')
print('su:',su)
#자바였다면
'''
Scanner sc=new Scanner();
String su=sc.next();
if(Integer.parseInt(su)%2==0){
System.out.println('짝수');
}
else if(Integer.parseInt(su)%2==1){
System.out.println('홀수');
}
'''
if int(su)%2 == 0 :
print('짝수')
print('---')
else :
print('홀수')
print('***') # 들여쓰기가 필수다.
print('========================')
# 자바에서의 else if는 elif로 쓴다.
jumsu=int(input('점수를 입력하세요:'))
if jumsu>=90 :
print('A학점')
elif jumsu<90 and jumsu>=80 : # and를 굳이 써줄 필요 없다.
print('B학점')
elif jumsu>=70 :
print('C학점')
elif jumsu>=60 :
print('D학점')
else:
print('F학점')
word = input('문자열 입력:')
print('word:',word)
print(word.upper())
print(word.lower())
if word.lower() == 'apple' :
print('사과')
elif word.upper() == 'grape'.upper() :
print('포도')
else :
print('그 밖의 과일')
반복문 for
#for 변수 in 반복할 데이터 :
# 반복할 문장
total= 0
for i in range(1,10,1) : #range(시작,끝,증가값) : 시작~(끝-1)
print("i:",i)
total+= i
if i%2==0 :
print('짝수')
print("total:",total)
for i in range(1,5) : #증가값을 안쓰면 자동으로 1씩 증가한다.
print("i:",i)
print("-----------")
for i in range(5,1,-1) : #증가값에 -1을 안쓰면 작동 안한다.(1씩 증가해야하는데 시작값이 끝값보다 커서)
print("i:",i)
print("-----------")
for i in range(10) : #0부터 시작해서 10-1(9)까지 1씩 증가.
print("i:",i)
print("-----------")
for i in range(0,10,1) : #0부터 시작해서 10-1(9)까지 1씩 증가.
print("i:",i)
print("-----------")
for i in range(0,10) : #0부터 시작해서 10-1(9)까지 1씩 증가.
print("i:",i)
#2중 for문
for i in range(1,6):
for j in range(7,9) :
print(i,j)
print('------')
print('######')
#구구단
for i in range(2,10) :
print('**',i,'단**')
for j in range(1,10) :
print(i,'*',j,'=',i*j)
print('--------------')
#continue,break
for x in range(5) :
if x==2 :
continue
print(x,'if')
elif x==4 :
break
print(x,'elif')
else :
print(x,'else')
i=1
while i<5 :
print(i)
i+= 1
i=1
while True :
if i==5 :
break
print(i)
i += 1
total=0
count=0
while True :
su=int(input("숫자 입력:"))
total += su
count += 1
if su<0 :
break
print('합계 :',total)
print('평균 :',total/count)
리스트 list
L = [10,20,30,40,50]
print("L :",L)
print(type(L))
print(L[0])
#print(L[3])
print(L[-1],L[4]) #L[-1]==L[마지막방]
print(len(L),L.__len__()) # 내장함수, list 클래스가 갖고 있는 함수
for i in range(0,len(L)) :
print(L[i])
print('-------------')
for i in L : #확장for문과 흡사함
print(i)
print('-------------')
print(L[1:3]) #1번방부터 시작해서 3번방 전까지 (3-1)번방까지 나온다.
print(L[1:30]) # error는 안나고 있는 값까지만 출력한다.
print(L[3:]) # 3번방부터 끝까지
print(L[:3]) # 0번방부터 3번방전까지
L[1] =222
print("L :",L) # list 는 변경이 가능하다
print("L+L=",L+L) #L이 두번 나온다
print("L*2=",L*2) #L이 두번 나온다
print("L :",L)
L = range(10) #0~9
print("L :",L) #range(0,10)
L = list(range(10)) #0~9
print("L :",L) #[0, 1, 2, 3, 4, 5, 6, 7, 8, 9]
L = list(range(100)) #0~99
print(L[:5])
print(L[::5]) #0부터 5배수의 방씩 출력[0, 5, 10, 15, 20, 25, 30, 35, 40, 45, 50, 55, 60, 65, 70, 75, 80, 85, 90, 95]
print(L[::-5]) #99부터 5배수의 방씩 -해서 출력[99, 94, 89, 84, 79, 74, 69, 64, 59, 54, 49, 44, 39, 34, 29, 24, 19, 14, 9, 4]
print(30 in L) #True
a=['apple','banana',100,200]
print("a :",a)
a[1:1]=[33] #a[1] 사이에 끼워넣기
print("a :",a) #['apple', 33, 'banana', 100, 200]
a[1:2] =[1,2,3,4,5] # a[1]을 빼고 [1,2,3,4,5]를 끼워넣는다.(변경)
print("a :",a) #['apple', 1, 2, 3, 4, 5, 'banana', 100, 200]
a[0:2] =[] #0,1번 방 삭제와 땡기기
print("a :",a) #[2, 3, 4, 5, 'banana', 100, 200]
del(a[2]) #2번방 (현재는 4) 삭제
print("a :",a) #[2, 3, 5, 'banana', 100, 200]
del(a) #a라는 list 삭제
s = [10,20,30]
print("s :",s)
s[1:1]=[15] #끼워넣기
print("s :",s) #[10, 15, 20, 30]
s[4:4] = [40] #s += [40] 도 된다. s[4] = 40은 안된다.
print("s :",s) # [10, 15, 20, 30, 40]
s.insert(2, 17) # 클래스 함수 사용
print("s :",s) #[10, 15, 17, 20, 30, 40]
s.append(50) # 맨 끝에 추가
print("s :",s) #[10, 15, 17, 20, 30, 40, 50]
L = []
L2 =[]
L3 =[]
for i in range(5) :
su =int(input('숫자 입력:'))
L.append(su)
L2.insert(i, su)
L3 += [su]
print("L :",L)
print("L2 :",L2)
print("L3 :",L3)
print(L.index(30)) #30 이라는 값의 위치를 찾아 몇번방인지 출력한다. 없으면 error
L.sort() # 오름차순 정렬(reverse=False)(기본값) 내림차순 정렬(reverse=True)
print("L :",L)
L = ['1237','34','56','124']
print("L :",L)
L.sort() # 정렬방식이 다르다 각각의 첫 글자가 작은 순서 첫 글자가 같다면 뒷자리 이런식
print("L :",L) #['1237', '124', '34', '56']
L.sort(key=int) #정수로 취급해서 정렬한다.
print("L :",L) #['34', '56', '124', '1237']
'Develop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012 Python pandas DataFrame (0) | 2022.10.13 |
---|---|
1011 Python Numpy,pandas(맛보기) (1) | 2022.10.13 |
1007 Python Class,예외처리,DB (1) | 2022.10.13 |
1006 Python 파일 입출력,클래스 (0) | 2022.10.06 |
1005 Python list 이어서,튜플,사전,함수,모듈 (1) | 2022.10.06 |